제공 : 유튜브 더즈 채널
Misc.txt 파일은 기타로 분류되는 아이템을 관리하는 텍스트 파일이다.
룬이나 보석을 상점에서 판매하도록 설정하거나
퀘스트 아이템을 상점에서 판매하게 만드는 등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.
강화 포션들을 만들 수도 있다.
name : 해당 아이템의 이름. 대부분 *name과 동일한 이름을 사용중이다.
szFlavorText : 사용되지 않는 항목으로 보인다.
compactsave : 힐링포션, 보석과 같이 아무런 스텟값을 가지지 않는지를 설정한다.
: 여기서 스텟값은 수량, automagic, 접사, 데미지 등의 추가 옵션과 게임내 설정값 등을 의미한다.
version : 확장팩인가 아닌가를 결정하는 값. 100이면 확장팩 전용. 0이면 공통 사용 가능
level : 해당 아이템의 베이스가 되는 레벨이다.
이 값이 낮으면 노말 몬스터가 드랍 가능하고 높으면 고급 몬스터만 드랍할 수 있다. ->treasureclassex.txt와 연동
: 큐빙으로 해당 아이템을 만들 때도 적용되는 개념으로 보이니 적절한 값을 주어야한다.
levelreq : 아이템의 요구레벨
rarity : 아이템의 희귀도 / 높은 값이 더 낮은 드랍률을 보여준다. /
: 0으로 설정하면 드랍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.
: 999에 해당되는 것은 퀘스트 아이템들 뿐이다.
: 조드룬이 30의 희귀도를 가진다. - misc에 포함되는 아이템중 퀘스트 아이템을 제외하고 가장 높다.
spawnable : npc가 판매하는 것을 허용하는 항목이다. / 1 = 판매 허용 / 0 = 판매 불가
speed : 아이템이 랜더링되는 속도를 결정한다고 한다. 0값이 기본이며 다른 설정을 만질 이유가 없다.
nodurability : 내구도가 존재하지 않도록 설정. misc.txt의 대부분의 아이템이 1 값을 가진다.
: 패이즈 블레이드 역시 내구도를 가지지 않는다.
cost : 상점 가격
gamble cost : npc 갬블 가격
code - 게임내에 약속된 아이템의 코드 값.
- 추가한다면 다른 코드값과 겹치지 않게 설정해야한다.
alternategfx - DCC에 포함되는 애니메이션 값이다.
- 다른 아이템의 값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 것 같다.
namestr - TBL 파일에 사용되는 약속어이다.
해당 약속어의 설명을 TBL 파일에 넣어줘야 게임 내에 아이템 설명이 보인다.
component : 해당 아이템과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값이 약속되어 있다.
: Misc.txt 파일은 기본적으로 16 값을 사용하므로 misc.txt에 다른 아이템을 넣는다면 16으로 설정하자.
: 장비류는 weapons, armor 파일들에 추가해주자.
invwidth : 인벤토리 내에서 가지는 아이템의 넓이
invheight : 인벤토리 내에서 가지는 아이템의 높이
hasinv : 해당 아이템에 룬, 보석 등을 넣을 수 있게 설정할 것인가 / 1=가능 / 0 = 불가능
gemsockets : 최대 소켓 수를 설정한다.
gemapplytype : 보석이나 룬을 넣을 때 어떤 부위에 넣은 것으로 취급할 것인가.
0=무기
1=갑옷
2=방패
flippyfile = 땅에 떨어진 아이템을 표시할 이미지 파일
invfile = 인벤토리 안에서 아이템을 표시할 이미지 파일
uniqueinvfile = 유니크 아이템일 경우 표시할 인벤토리 내의 아이템 파일
위 세 가지 항목은 Data/Global/Items/ 폴더 내에 위치한 파일들을 이용한다.
special : 사용되지 않는 항목
Transmogrify : 우클릭을 통해 아이템이 변화하는지를 설정한다. 0 = 변하지 않음 / 1 - 변화함
- misc.txt 파일 내의 아이템들은 0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.
TMogType : 우클릭을 통해 변화하는 세부 설정을 결정한다. code 값을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.
TMogMin : 변화한 아이템의 최소 수량
TMogMax : 변화한 아이템의 최대 수량
useable : 아이템을 사용할 수 있는가 - 1 = 변화함 / 2 = 변화x
throwable : 투척 가능한가
type : 아이템이 가지는 기본 분류값 / itemtype.txt 파일에서 분류값을 가져온다.
type2 : 아이템이 가지는 기본 분류값 2
dropsound
dropsfxframe
usesound
- 드랍 사운드 / 드랍 사운드의 속도 / 사용 사운드
unique : 1로 설정된다면 해당 아이템은 유니크로'만' 출현한다.
: 0값으로 둔다면 유니크 , 일반 모두 출현 가능하다.
: 일단, 유니크가 뜨기 위해서는 uniqueitem.txt에 해당 유니크 아이템을 추가해줄 필요성이 있다.
transparent : 알 수 없음
transtbl : 알 수 없음
lightradius : 사용되지 않는 값이다. 시야 증가에 활용되는 것으로 보인다.
belt : 벨트 착용 가능 여부
autobelt : 아이템 획득시 자동으로 벨트에 장착
stackable : 아이템 수량을 겹쳐서 사용할 수 있는가 / 보석, 룬 에 설정할 경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니 그러지 말자.
minstack : 최소 누적 갯수
maxstack : 최대 누적 갯수
spawnstack : 아이템이 드랍되는 기본 갯수
quest : 퀘스트 아이템에 활용된다. - 하드 코딩된 약속값을 활용한다.
questdiffcheck : 해당 아이템의 드랍/획득 난이도를 체크하는 기능이다.
missiletype : 미사일 타입을 설정한다. missilse.s.txt와 연계한다.
- 일단 misc.txt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값으로 보인다.
spellicon : 해당 아이템을 활용하는 스킬 아이콘이다.
=자벨린의 경우 투척 스킬이 표기된다.
= 사용하지 않는편이 좋다.
pSpell : 하드코딩된 약속값을 사용한다. 하드코딩된 값을 넣어줘서 다양한 사용효과를 줄 수 있다.
- 다른 아이템들의 값을 참고하여 추가하자
state : states.txt 파일에서 참고한다. 사용시 해당 효과가 나타난다.
cstate1 : states.txt 파일에서 가져오는 값이다. state 값과 연동되는 값을 쓰지 않으면 오류가 생긴다.
cstate2 : states.txt 파일에서 가져오는 값이다. state 값과 연동되는 값을 쓰지 않으면 오류가 생긴다.
len : 효과가 지속되는 시간.
stat1 : 사용시 캐릭터에게 추가되는 스텟
calc1 : 적용되는 구체적인 수치
예를 들어 스테미나 포션의 경우
state : staminapot
len : 750
stat1: staminarecoverybonus
calc1: 5000
로 정리된다. 즉 cstate1이 활용되지 않는다.
반면 해독 포션의 경우
state : antidote
cstate1 : poison
len : 750
stat1: maxpoisonresist
calc1: 10
로 정리된다.
두 값을 비교하면 cstate1,2의 기능을 대충 짐작할 수 있다.
중요한 점은 우리가 이 부분을 활용해 일시적인 버프 포션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.
spelldesc : 0~3 값을 가진다.
0 = don't use any description or calculation.
1 = use spelldescrtr only
2 = use spelldescrtr and spelldesccalc.
spelldescstr : spelldesc에서 사용하는 값이다.
spelldesccalc : spelldesc에서 사용하는 값이다.
- 일반적으로 추가할 이유가 없는 옵션들이다.
durwarning : 내구도 경고 표시
qntwarning :> 수량 경고 표시
gemoffset : 모르겠음
BetterGem : 보석류에만 활용된다. 보석 업그레이드 -> 다음 단계 약속인 것으로 보인다.
bitfield1 : 다양한 약속들을 설정한다.
1 = 가죽 아이템
3 = 철로 만들어진 아이템 => 아이언 골렘 가능
이 이후는 npc 항목이다.
CharsiMin : 찰시가 판매하는 최소 수량
CharsiMax : 찰시가 판매하는 최대 수량
CharsiMagicMin : 매직 아이템으로 판매하는 최소 수량
CharsiMagicMax : 매직 아이템으로 판매하는 최대 수량
CharsiMagicLvl : 255 고정
앞선 spwanable 항목과
이 항목을 통해 상점에서 룬, 보석을 판매하도록 수정한다.
뒤로 계속 npc 항목이 이어지므로 npc 항목은 생략한다.
PermStoreItem : npc가 해당 아이템을 무조건 판매하도록 한다.
multibuy : 해당 아이템을 여러개 살 수 있다 ex) 포탈 스크롤
*eol : 버그를 막기위한 수치 입력
1 값을 넣어줘야 나이트메어~헬 난이도에서도 해당 설정이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.